google-site-verification=1J40k9XOCN8PTkck4kNeKh8iZ_bPR7n25XfIF6MbWxA 부모 역할의 이해
본문 바로가기
부모교육

부모 역할의 이해

by 다다선 2024. 2. 20.
반응형

 

1. 부모 역할의 특징

 가족은 역할관계, 세대관계, 권력관계, 성별관계입니다. 가족의 하위체계인 부모-자녀관계는 가족의 이러한 속성과 함께 부부관계나 형제자매관계와 다른 본질적 특징을 가집니다.

부모와 자녀는 세대라느 고리를 만들어 상호작용합니다. 부모는 자녀를 보호, 지도, 훈육하며 자녀에 대한 책임감을 가집니다.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질적 특성은 자녀와 부모 모두의 성장과 발달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자녀는 더 큰 권력을 가진 부모와 의사소통, 의사결정, 갈등해결을 하는 과정을 통해 대인관계에 필요한 상호작용 전략을 학습합니다.

 

 부모역할이란 가족 체계 속에서 부모라는 지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맡겨진 행동규준이며 동시에 그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권리이자 의무입니다. 이러한 부모역할의 특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부모의 역할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2) 실수의 여지가 없다.

 (3) 부모는 도중에 그만둘 수 없다.

 (4) 부모의 권위는 없고 의무만 있다.

 (5) 부모들이 따를 전통적인 자녀양육 모델이 없다.

 (6) 부모는 자녀를 부모 자신보다 더 나은 존재로 키우도록 기대되고 있다.

 (7) 부모는 자녀에 대한 총책임을 진다.

 (8) 부모 두 사람이 한 팀이 되어 자녀를 양육한다.

 (9) 각 아동마다 독특하다.

 (10) 대부분의 부모들은 부모되멩 대한 준비나 훈련 없이 부모가 된다.

 (11) 부모역할은 점진적으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다.

 (12) 부모역할이 끝나는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2. 어머니 역할의 이해

 현대사회에서 어머니 역할과 아버지 역할은 고정되거나 이분화하여 진행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하면서 상황에 따라 그 역할을 보완, 전환하면서 융통성 있게 수행할 수 있음을 역설해야 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부부공동양육이 강조되면서 부모 상호 간의 협력과 협조를 중시하지만 어머니됨과 아버지됨의 전환 과정은 극명하게 구별됩니다. 즉, 생모인 어머니는 아버지와 달리 임신, 출산의 과정을 거치며 수유를 할 수 있습니다.

 

 임신과 출산은 부모기로의 전환을 뚜렷하게 만듭니다. 대개의 경우 임신 과정을 통해 어머니는 태아와 정서적 유대감을 갖게 되고 출산이라는 힘든 과정을 거치면서 자녀와의 애착은 짙어집니다. 최근의 의학지식은 출산과정은 어머니와 자녀 모두에게 매우 충격적인 사건으로 어머니 못지 않게 자녀 역시 극도의 스트레스와 고통을 겪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3. 아버지 역할의 이해

 아버지 역할을 자녀 탄생 이후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오늘날에는 임신 전부터 자녀 생애 전반에 미치는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과 효과, 또 자녀가 아버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Pleck(1987)은 20세기 아버지의 역할을 경제적 부양자로서의 아버지(1940년대 이전), 성역할 모델로서의 아버지(1940~1970년대 중반), 양육자로서의 아버지(1970년대 중반 이후)의 세 가지 형태로 개념화하였습니다. 사회변화로 인해 아버지는 더이상 가정에 물질적 도움을 주는 부양자로서의 존재가 아니며 어머니 못지않게 자녀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오늘날 자녀 양육에의 아버지 참여에 대한 긍정적 효과는 구체적 연구결과를 통해 증명되고 있습니다. 즉,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더 많이 참여할수록 자녀가 학업적, 직업적 성공을 거둘 확률이 높아지고 대인관계 등 사회적응력이 높아집니다. 현대사회에서 아버지는 자녀양육의 이차적인 존재가 아니므로 적극적 참여를 통해 자녀 성장의 발달을 도모해야 합니다.

 가장 좋은 아버지는 아들이나 딸이 독립적이고 목표 지향적이며 지속적이 되도록 하며 생산적인 가치를 가르쳐 줍니다. 자녀 발달에 따른 아버지 역할은 대체로 6단계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애착단계

  자녀 출생 후 2세까지 기간으로, 생후 6개월 이후 아버지와 유아 간 관계는 현저히 발달합니다. 유아는 아버지가 특정행위를 선택하도록 실마리와 자극을 줍니다.

 

 (2) 이상주의 시기

  자녀가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의 기간으로, 이때 자녀는 아버지를 이상적인 모습으로 그립니다.

 

 (3) 이해의 단계

  자녀가 초등학교에 다니는 시기로, 아버지는 자녀가 세상 속으로 다가가는 것을 이해하기 시작하고 자녀는 새롭게 경험하는 세상을 이해하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 아버지는 동일시 대상으로 자녀가 세상을 배워나가도록 도와주고 격려하는 역할을 합니다.

 

 (4) 계몽의 시기

  자녀가 청소년기(13~18세)로, 자녀가 독립을 추구하면서 이상형으로 생각했던 아버지와 도덕적인 갈등을 경험합니다. 아버지는 자녀를 지지하면서 책임을 갖도록 훈련시키면서 청소년기 자녀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야 합니다.

 

 (5) 자율 형성 시기

  자녀가 성인기(19~40세)로 접어들면 자녀는 독립을 하여 개인으로서 완전한 자율을 형성합니다.

 

 (6) 생산성 단계의 종료

  장년기(40세 이후) 자녀를 둔 아버지는 생산성의 단계를 마치게 됩니다. 이 시기에 아버지는 아버지 역할과 동시에 할아버지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세대 간의 새로운 역동성이 생겨납니다.

반응형

댓글